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매독보다 통증 심하고, 콘돔 소용 없는 '이 성병'… 연성하감 아세요?

by 초코초 2024. 4. 2.
728x90

매독보다 통증 심하고, 콘돔 소용 없는 '이 성병'… 연성하감 아세요?

 

 

 

 

연성하감은 매독에 비해 환부에서 더 심한 통증이 느껴지며, 성 접촉으로 인해 감염되기 쉽다. 사진은 헤모필루스 듀크레이 균을 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사진=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잘 씻지 않은 상태에서 성관계를 가진 후, 성기에 부드러운 궤양이 생기고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연성하감(무른 궤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연성하감은 매독이나 임질, 콘딜로마(곤지름) 등과 함께 '7대 성병'으로 지정된 주요 감시 대상이다. 연성하감의 증상과 원인, 치료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728x90

 

 

매독보다 통증 심해… 콘돔으로 100% 예방 어려워

 

 

 

연성하감이 국내에 많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지난해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2월부터 7월까지 6개월간 7대 성병의 발생 건수는 전년 대비 7.7% 증가했지만, 이중 연성하감 신고 사례는 3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감염이 의심되는 단계부터 질병관리청에 신고하는 매독이나 임질과 달리, 연성하감은 정식 검사를 통해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에만 신고하는 특성이 있다.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심봉석 교수는 "정확한 환자 수를 알기 어렵지만, 연고를 처방해 적절히 관리해 주면 금방 낫기 때문에 신고를 안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성하감 증상은 성 접촉 후 최대 열흘 안에 발생한다. 초기에는 성기 주위에 작고 붉은 구진(돌기)이 생기고 피부가 부어오르면서 매독에 감염됐을 때보다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 오히려 매독성 궤양은 통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봉석 교수는 "매독은 성기 병변을 일으키는 질환이 아니라 혈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있는 질환인 반면, 연성하감은 피부질환이기 때문에 통증이 더 심하다"고 말했다. 성별에 따라 통증 차이도 큰데, 남성이 여성보다 연성하감으로 인한 통증을 더 크게 느낀다. 반면 여성의 경우 궤양이 나타나도 큰 통증을 느끼지 못해 궤양이 생겼다는 사실을 모른 채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연성하감은 시간이 지나면 감염 부위에 고름이 차고 농포가 터져 궤양으로 이어진다. 또 감염자 30~50%는 궤양이 생기고 1~2주가 지나면서 서혜부(사타구니) 임파선으로 염증이 전이돼 부기와 통증이 생긴다. 이때 임파선은 한쪽만 부어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성하감의 주된 원인은 불결한 성 접촉이다. 성관계 시 궤양 부위가 상대방 피부에 닿으면 연성하감을 일으키는 세균인 '헤모필루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가 성기를 감염시키는 방식이다. 성 접촉이 없더라도 궤양 부위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다른 피부에 닿으면 전염될 가능성도 있다. 심봉석 교수는 "여성과 남성 모두 흥분 과정에서 분비물이 나오는데, 그 분비물에 각종 성병 균이 섞여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콘돔을 사용하면 무조건 연성하감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하기 어려운 이유로도 이어진다. 콘돔은 성기의 결합 시점에서만 감염 예방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애무를 하는 과정에서 성기와 성기 간에 마찰이 생길 수도 있으며, 성관계가 끝난 후 피부 접촉에 의해 분비물에 의해 전염될 수 있다.

 

 

혈액 검사도 함께 실시… 상대에게 감염 사실 즉시 알려야

 

 

연성하감은 보통 궤양에서 원인균을 배양해 진단한다. 하지만 다른 궤양성 질환인 매독이나 헤르페스 2형 등과 혼동할 수 있어 혈액 검사를 같이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또 연성하감이 에이즈를 유발하지는 않지만, 에이즈 여부도 함께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에이즈에 감염됐을 경우 면역력이 약해 적은 양의 세균에도 병변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성하감 증상이 잘 치료되지 않기 때문이다. 심봉석 교수는 "궤양성 질환이나 매독 등이 의심될 때는 에이즈 검사까지 루틴으로 같이 한다"고 말했다.

연성하감을 진단받으면 항생제와 연고로 치료한다. 치료 후 3~7일이 지나면 궤양이 사라지고, 증상이 사라지면 전염도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궤양의 크기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달라지는데, 궤양이 크다면 치료에만 2주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연성하감은 추가 감염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연성하감 진단을 받았다면 성 접촉을 한 상대에게 반드시 알려 신속히 검사받게 해야 한다. 또 환자 본인에게 배우자가 있다면 배우자도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출처  /  헬스조선 이해나 기자 lhn@chosun.com,정준엽 인턴기자

 

 

 

https://n.news.naver.com/article/346/0000072793

 

매독보다 통증 심하고, 콘돔 소용 없는 '이 성병'… 연성하감 아세요?

잘 씻지 않은 상태에서 성관계를 가진 후, 성기에 부드러운 궤양이 생기고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연성하감(무른 궤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연성하감은 매독이나 임질, 콘딜로마(곤지름) 등

n.news.naver.com

 

 

 

 

 

 

728x90